인천시가 경제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설치를 추진한다.
29일 시에 따르면 전문적인 대외 환경 변화 분석과 빠른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지역경제·산업에 특화한 상시 조직으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2024년까지 인천연구원에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 1월에는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설치 준비와 시범운영을 위한 추진단을 구성한다. 추진단 구성에 필요한 출연금은 2억5000만원으로 추정된다. 시는 내부적으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설치 및 출연 규모 등을 협의하고 있다.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는 일반적으로 개별산업 및 지역경제동향 분석, 지역경제 현안 연구, 지역경제 진단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경제위기 발생에서는 원인 분석, 점검회의 개최, 대응방안 제시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현재 시는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종합해 매월 경제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출연 연구기관인 인천연구원에서는 매월 경기종합지수를 발표한다.
그러나 정작 코로나19, 요소수 대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경제위기 사안 발생마다 위기 대응 전문성 부족, 대응 매뉴얼 부재 등의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지역 특성에 걸맞은 산업구조 변화 대응 등에 부족하다는 지적 역시 받는다.
시는 앞으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설치하면 경제위기 발생에 맞춰 즉각적인 위기 대응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라는 컨트롤타워를 토대로 경제위기마다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전국에서 경제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 경제동향분석센터를 설치한 시·도는 부산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 4곳이다.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는 경제위기대응시스템 운영 및 네트워크 구축, 경제위기 대응 매뉴얼 작성 등을 주요 업무로 정하고 있다.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운영에는 최소 4억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전망이다. 부산경제동향분석센터와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에 들어가는 운영 예산은 각각 4억8000만원, 5억6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시 관계자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산업 구조에 중점을 둔 경제동향 연구분석이 필요하다”며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가 설치되면 지역 여건 맞춤형 경제분석을 통해 경제위기에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