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인원 최대 25% 교체”…100일 기점 쇄신 속도

입력 2022-08-28 18:33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기점으로 시작된 내부 인적 쇄신 작업을 통해 최대 4분의 1에 해당하는 인원의 교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비서실 소속 인원이 300여명인 점을 고려하면 70명 이상의 인원이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은 비서관급에서 행정관급까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조직 진단과 업무 적합성, 성과 평가 등을 기준으로 철저하게 업무 필요성을 검증해 교체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다. 이는 이달 말부터 다음 달까지 진행되는 1차 개편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이후로도 업무 평가에 따라 수시로 인력 보강 또는 교체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28일 “대통령실 인력 가운데 최대 25% 정도까지 교체될 수 있다고 보면 된다”며 “전반적인 조직 진단을 한 결과를 살펴본 뒤 이를 통해 업무와 맞지 않는 자리에 있다고 판단되는 인사들이 교체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인사 평가와 교체 작업이 전체적으로 진행 중인 상황”이라며 “정무수석실을 시작으로 9월까지 전체적인 1차 개편이 진행되지만 5년 내내 보강과 개편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적 쇄신 작업과 관련해 “대통령실은 국민에게 헌신하고 봉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그 적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에 의해 유지돼야 하는 곳”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인적 쇄신 혹은 조직의 재점검, 재정비는 늘 어느 정부에서나 이뤄져 왔다”고 설명했다.

인적 쇄신은 감찰과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시민사회수석실 산하 A비서관은 인사 개입 의혹을 받아 감찰 끝에 자진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B비서관은 부하 직원의 내부 문건 유출에 대한 관리 감독 소홀을 이유로 감찰을 받았고 29일 대통령실 인사위원회에 회부됐다. 행정관급 10여명에 대한 공직기강비서관실의 감찰이 진행되고 있으며, 감찰이 본격화되기 전 사의를 표명한 이들도 현재까지 1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특히 외부 추천으로 대통령실에 들어온 인사들 중 보직 관련 전문성이 없는 인사들을 우선적으로 교체 대상에 올려놨다고 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추천 사유와 업무 결과에 격차가 있으면 이를 해소하는 작업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무수석실은 산하 행정관 3명이 대통령실을 떠났고, 일부 행정관들의 인력 재배치도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접견, 악수하고 있다. 뉴시

또 다른 관계자는 “윗선의 추천으로 대통령실에 들어온 사람들이 대통령을 위해 일하지 않고 자신을 추천한 사람을 위해 일했던 것 같다”며 “정리는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9일 이재명 신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예방해 윤 대통령의 당선 축하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문동성 이상헌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