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000년대 초반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가 본격화하면서 시작된 서울시의 노후 경유차 규제와 배출가스 관리 강화, 친환경 에너지 확대 정책이 비로소 빛을 보고 있다는 평가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초미세먼지(pm 2.5) ‘좋음(15㎍/㎥ 이하)’ 일수는 2016년 57일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72일로 세 배 이상 늘어났다. 일년의 절반은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었던 셈이다. 반면 ‘나쁨 이상(35㎍/㎥ 초과)’ 일수는 같은 기간 73일에서 35일로 줄어들었다. 미세먼지(PM 10)와 초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지난해 각각 38㎍/㎥, 20㎍/㎥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의 초미세먼지는 국외 유입(42%), 국내 타지역(32%), 서울 내부(26%)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눈에 띄는 미세먼지 저감 성과는 적극적인 내부 규제와 체계적인 관리 대책 덕분이라는 평가다.
2007년 서울시는 ‘맑은 서울 2010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당시 오염물질 배출량은 자동차와 건설기계 등 수송 분야가 76.1%로 압도적이었다. 중국‧몽골 내륙의 사막화, 중국의 산업 팽창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유입이 대기 악화를 부채질했다. 시는 노후경유차 저공해화, 저공해 자동차 보급확대 등 수송 분야를 포함해 10개 핵심과제를 추진했다.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은 “대기질 개선은 시민들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서울의 대기질을 OECD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서울시는 2014년 경유 시내버스를 모두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100% 전환했다. 이어 마을버스와 청소차 전환 작업이 진행 중이다. 전기차도 2009년 첫 보급 이후 5만2427대를 보급했다. 노후차 저공해사업은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도입(2018년) , 5등급 차량 50만대 저공해화 등으로 확대 발전해 올해 사업이 마무리단계다. 실내 오염원 배출 방지를 위해 친환경 보일러 22만7623대, 사업용 저녹스버너 6357대도 보급했다.
제도적으로는 2017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2019년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도입했다. 3차 계절관리제 시행 이후에는 29%나 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됐다. 15년전 뿌린 씨앗이 마침내 결실을 맺고 있는 셈이다.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2007년 서울시의 약속이 성과를 거둔 것처럼 대기질 개선을 위한 장기적 비전으로 마음놓고 숨쉴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