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5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연 2.50%로 정했다. 네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이다. 다만 지난달 ‘빅스텝’(기준금리 0.5% 포인트)에 이어 연속 빅스텝을 밟는 대신 인상 폭을 낮췄다. 경기 둔화 우려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여전한 고물가 상황을 겨냥한 통화 정책이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6.3%)이 높은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물가 급등 등 국내 물가 상승 압력도 높은 상태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뒤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한국(2.25%)보다 높아졌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고환율 상황 등에 대한 대응이 필요했다는 얘기다.
다만 이번에는 0.25% 포인트 인상으로 인상 폭을 조정했다. 하반기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급격한 금리 인상은 기업 실적 악화와 투자 위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8월 기대인플레이션율(4.3%)이 7월보다 0.4% 포인트 낮아진 점도 인상 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통위는 4월과 5월, 7월 회의에서 연이어 기준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