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지역기반의 녹색 금융시스템 ‘그린뱅크’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력의 한계로 인해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 및 에너지 전환에 대한 투자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경기도 산하기관인 경기연구원은 25일 이러한 내용 중심의 ‘탄소중립을 위한 지역금융, 그린뱅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경기연은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중앙정부와 기존 금융기관들이 결합해 그린뱅크 추진, 탄소중립 전략 추진에 맞는 설계, 독립성·자율성·전문성을 갖춘 기관 운영과 관치화를 법적으로 금지하는 장치,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지방 관계 기반 금융으로 운영, 정책금융 지원 확대 등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지역 기반 녹색 금융시스템 구축 전략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그린뱅크’의 효율적 설립을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그린뱅크란 기후변화 또는 친환경에너지 분야에 대한 금융을 전담하는 공공기관이나 준공공기관, 비영리기관으로 저탄소 및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위해 설립된 기관을 말한다. 이러한 그린뱅크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공공자금을 활용해 민간자본 유인을 최대화하면서 녹색금융 활성화하는 것이다.
그린뱅크는 자원 및 에너지효율 개선 프로젝트에 자금을 제공해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금융이나 기후변화와 관련된 온실가스 저감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응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는 기후금융 등을 수행한다.
정부는 2021년 ‘2050 탄소중립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 6대 환경목표 달성을 위한 경제활동으로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를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Post 2020) 채택을 앞두고 전세계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정부 주도로 그린뱅크 설립을 시작해 현재 12개 국가에 27개의 그린뱅크가 있고 신흥국과 저개발국을 포함해 20개국이 그린뱅크를 추진 중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