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교 30주년 기념행사가 24일 양국 수도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주한중국대사관이 주관한 서울 행사는 이날 오후 7시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진행된다.
행사에 주빈으로 참석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서한을,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서한을 각각 대독한다.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은 한·중 협력 및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양국이 관계 발전을 이어가야 한다는 데에 방점을 찍었다.
수교 30주년을 맞아 나란히 발신된 한·중 정상의 메시지는 새로운 ‘조정기’에 들어선 한·중 관계의 향배를 가늠할 의미 있는 단서가 될 것이라 평가가 나온다.
앞서 우리 정부는 1992년 수교 이래 30년 동안 양국 관계가 정치·경제·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발전을 거듭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까지 발전됐다고 평가했다.
이를 토대로 양국이 상호 존중에 기초해 공동의 이익을 모색하며 성숙한 관계 발전을 이루는 것을 한·중 관계의 지향점으로 삼았다.
우리 정부는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상호 존중’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한·중 관계가 자주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한·미 간 밀착 행보를 경계하고 있다.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으로 일컬어지는 ‘칩4’의 한국 참여 문제 등이 이런 배경에서 터져 나온 대표적 현안이다.
이 같은 다양한 갈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양국의 공동 이익을 위한 공간을 유지·확대해 나갈 수 있을지가 앞으로의 한·중 관계에서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기념행사에 앞서 양국 외교장관은 한·중 전문가들이 1년간 준비해 온 ‘한·중 관계 미래발전위원회’ 공동보고서를 제출받았다.
양국에서 각 22명의 전문가가 미래계획·정치외교·경제통상·사회문화 등 4개 분과별로 논의해 마련한 결과물이다.
이들은 보고서를 통해 한·중 관계 30년 성과와 도전과제, 한·중 관계 미래발전 추진 방향 등을 양국 정부에 제시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