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정부에 상월교회 순교자 등 북한군 희생자 유가족 지원 권고

입력 2022-08-24 14:23
이성배(가운데) 상월교회 목사가 지난 6월 전남 영암군 교회 앞마당에 있는 35인 순교자 기념탑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민일보DB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가 6·25 전쟁 당시 북한군에 의해 희생된 전남 영암군 주민 유가족을 지원할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이번 대상자 133명 중에는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살해당한 상월교회 성도 16명이 포함됐다.

김광동 진실화해위 상임위원은 24일 국민일보와 전화통화에서 “그동안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 외에 침략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은 보상이 어려웠다. 이번 결정은 북한군 등 적대세력에 희생당한 이들을 위한 대규모 지원 권고로는 첫 번째 사례”라며 “금전적 보상까지 가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소식을 들은 이성배 상월교회 목사는 “유가족들에게나 교회로서도 기쁜 일”이라며 “현재 우리 교회는 피해자와 가해자 유가족이 화해의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보상의 차원을 넘어서서 기독교의 순교와 용서의 정신이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상월교회 성도들은 1950년 11월 6일 북한군에 의해 교회 근처 야산에 끌려가 마지막 예배를 드린 후 죽창 등으로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실화해위 조사 결과, 당시 순교자는 35명인 것으로 파악됐지만 이중 진실 규명 신청자가 16명이었기 때문에 이들만 대상자가 됐다. 김 상임위원은 “정확한 역사가 알려지고 희생자들이 보상받는 길이 열릴 수 있도록 피해를 입은 교회들이 유가족에게 진실 규명 신청을 적극적으로 독려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진실화해위 요청으로 최근 ‘한국전쟁 전후 기독교 탄압과 학살 연구’를 발표했던 박명수 서울신대 명예교수는 “상월교회 순교자들은 신앙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해서 순교한 것이다. 정부는 공산주의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며 “이번 권고가 기독교 순교자들을 위로하는 첫 물꼬가 돼 앞으로 수많은 순교자를 위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상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교수가 제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6·25 전쟁 당시 기독교인 1026명이 북한군으로부터 살해당했다.

박용미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