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감정노동자 감싼다…권익 보호 기본계획 수립

입력 2022-08-24 13:19

부산시가 감정노동자의 권익 보호에 나선다.

부산시는 감정노동자 보호 제도를 정착하고 민간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감정노동자 권익 보호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24일 밝혔다.

감정노동은 고객 응대 등 노동 과정에서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특정 감정을 표현하도록 업무상, 조직상 요구되는 노동 형태를 말한다. 부산에는 2021년 기준 52만6000여명이 감정노동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산 전체 노동자 165만1000명의 31.9%에 달하는 인원이다.

지난해 부산지역 감정노동자 2038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실태조사 결과 감정노동자 10명 중 8명이 주 1회 이상 고객으로부터 모욕적인 비난, 욕설, 위협, 성희롱 등 권익침해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도 대부분 사업장에서는 이들을 보호하는 예방책이나 사후관리 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기본계획은 업무 중 입은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해소하지 못하고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감정노동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영세사업장 지원을 통해 노동자와 기업이 좋은 환경에서 상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세부적으로 감정노동자 보호 기반 구축, 감정노동자 보호 지원 강화, 감정노동자 보호 제도 확산 등 3개 분야, 12개 실천 과제로 설정했다. 시는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총 36억9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우선 감정노동자를 위한 신규 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권익지원센터를 개소한다. 민간사업장에는 녹음 장비 등 노동자 보호 물품을 비롯한 휴게시설 설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노동·법률 등 상담 지원과 심리 치유 프로그램 운영, 노동커뮤니티 지원 등도 펼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대부분 감정노동자가 저임금, 비정규직 등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이며 서비스업 비중이 커지면서 감정노동자 숫자도 증가할 것”이라며 “이번 계획을 세심하게 추진해 감정노동자의 권익침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보호 체계 정착에 공공기관이 앞장서고 민간까지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