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신갈오거리 주민주도형 ‘스마트시티’로 거듭난다

입력 2022-08-24 09:55 수정 2022-08-24 11:15

경기도 용인시 신갈오거리 일대가 주민 주도형 ‘스마트시티’로 옛 명성을 되찾는다.

용인시는 신갈오거리 일대에 스마트시티 조성을 목표로, 10개 사업에 총 5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문제, 환경문제, 주거문제, 시설 비효율 등을 해결해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 ‘똑똑한 도시’를 말한다.

주민자치센터, 관곡경로당(실버케어센터), 공유플랫폼, 공영주차장 등 4곳에 에너지 절감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시스템을 도입, 탄소배출을 저감한다.

스마트전력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 각 가정에서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전기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이상 전류 발생 등을 감지해 전기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시는 올 하반기 시스템 구축에 착수, 올 연말까지 250여세대에 이 서비스를 보급할 예정이다.

신갈오거리의 경우 20년 이상의 노후 건물이 300여 곳이 넘고 전기설비 또한 건물과 함께 노후화 돼 전기 누설로 인한 화재 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했다.

또 젊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비대면 주문이 가능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네이버의 ‘스마트 상점’을 도입했다.

신갈오거리 일대 점주들의 연령대가 높아 상점을 알리고 홍보하는 데 무리가 있고 온라인상에선 이 일대 상권 정보를 얻고 싶어도 얻을 수 없다는 데서 착안한 것.

이와 함께 시는 신갈오거리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리빙랩’을 도입했다.

리빙랩은 사용자가 직접 나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 참여형 혁신공간’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모바일 등의 첨단 기술을 생활 영역에 접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용인특례시 던 신갈오거리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시의 관문으로 최대 번화가였다. 하지만 2000년대로 들어서며 주변 지역의 급격한 개발과 관공서 이전, 시설 노후화 등으로 거리가 점점 활력을 잃어 대표적인 구도심으로 전락했다.

이러한 침체기의 신갈오거리가 2020년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일반근린형) 대상지로 최종 선정돼 상권 회복, 주거환경개선, 공동체 활성화, 스마트 도시재생 등 4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2024년까지 사업비만 무려 484억원이 투입된다.

신갈오거리는 서울 양천구와 함께 전국 도시재생 뉴딜 선정지역 가운데 스마트사업이 추가로 지원되는 지역이다.

이상일 시장은 “지역 특색을 반영한 스마트 도시재생을 통해 신갈오거리가 옛 명성을 되찾고 생동감 넘치는 도심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