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6개 구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세가율이 90%를 넘나드는 것으로 나타나‘깡통 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가 23일부터 시범 공개한 ‘전·월세 시장지표’ 중 지역별 전세가율 자료에 따르면 2분기 서울 연립·다세대 주택의 신규 계약 평균 전세가율은 84.5%, 갱신 계약은 77.5%로 나타났다. 아파트의 경우 신규 계약은 54.2%였지만 계약갱신요구권 사용이 가능한 갱신 계약의 경우 이보다 훨씬 낮은 38.3%를 기록했다.
전세가율은 부동산의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의 비율을 뜻한다. 연립·다세대주택 신규 계약 전세가율을 보면 신축 빌라가 많은 강서구가 96.7%로 가장 높았다. 빌라를 사는 가격이 100만원인데 전셋값이 96만7000원이나 되는 셈이다. 집주인이 이미 주택담보대출을 받았거나 현 시세가 전셋값보다 낮아졌을 경우 깡통 전세로 전락할 확률이 높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시 보증료율 상향 기준을 부채비율 80%로 설정하고 있다.
금천구(92.8%)와 양천구(92.6%)도 전세가율이 90%를 넘어섰고 관악(89.7%)·강동(89.6%)·구로구(89.5%)도 90%에 육박했다.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비슷한 유형 주택의 전세가율을 모른 채 온라인상 공개된 시세 정보에만 의존해왔다”며 “시의 전세가율 자료는 주택의 동일 층·면적의 매매 실거래가와 전·월세 가격을 비교해 산출했기 때문에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계약 시 교차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가 공개하는 항목은 지역·면적·주택유형별 전·월세 임차물량 예측 정보와 25개 자치구의 지역별 전세가율, 전·월세 전환율 등이다. 임차물량 예측 정보는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시기를 월 단위로 분석해 자치구별로 나올 물량을 예측한 수치다. 올 8~12월 서울 시내에서 갱신계약이 만료되는 전·월세 예측물량은 월 최대 2만6858건으로 예측됐다.
2분기 전·월세 전환율은 아파트는 평균 3.9%, 연립·다세대는 5.2%였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했을 때 적용하는 환산이율(연)로, 이 수치가 높으면 전셋값보다 월세가 높다는 의미다.
시는 이같은 전·월세 시장지표를 매 분기 업데이트해 서울주거포털 내 ‘전·월세 정보 몽땅’에 공개한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주택 거래 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해 실수요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택임대시장 정보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