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신임검사들에게 “큰 결정은 과감하고 심플하게 하되, 작은 결정은 부드러우면서 좌고우면해야 한다. 큰 결정할 때 좌고우면하면 정치검사”라고 말했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한 장관은 지난 19일 경기 용인시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을 찾아 신임검사들을 상대로 진행한 특강에서 이처럼 말했다.
한 장관은 “정치검사는 정치 권력이라든지 그런 쪽에 개인이나 조직을 위해 복속하는 검사”라며 “이런 (큰 결정에 좌고우면하는) 사람들이 이렇게(정치검사가) 되기 쉽다”고 신임검사들에게 전했다.
그러면서 “큰 결정은 과감하고 명분이 되면 하는 것”이라며 “이게 뒤바뀌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한 장관은 검사가 좋은 직업인 이유에 대해 “진실을 규명해서 나쁜 놈을 잡고 약한 사람을 보호하는데 월급 주는 데가 어디 있는가”라며 “우리는 일상생활이 그것이다. 그래서 굉장히 좋은 것이고, 그것을 과소평가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이어 “그게 우리 직업이 가지고 있는 백미 중 하나다. 그것을 즐겨라. 저는 20여 년 간 (검찰에) 있으면서 그것을 잊지 않았다”며 “약한 사람의 억울함을 풀어줬을 때 그 기쁨이 굉장히 크다. 내 불이익을 감수하고 싸워볼 만큼 매력적이고 인생을 걸 만하다. 저는 그랬다. 여러분도 그런 기분을 한 번 느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유능한 검사가 되기 위한 덕목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한 장관은 “주로 부정부패 수사와 인지 수사를 많이 했다”며 “(수사를) 하다 보면 이 사안을 왜 해야 하고 왜 나쁜지에 대해 설명하는 게 중요하다. 이 사람이 나쁘다는 것을 스스로 확신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판사와 국민에게 설명해 설득하는 게 우리의 직업”이라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고래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 내 배에 태우지 않겠다’는 책 ‘모비딕’의 등장인물인 1등 항해사 스타벅의 말을 인용하며 “소신을 갖추려면 실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여러분 인생을 걸면 소신을 관철할 수 있다. 그래서 검사가 무서운 것”이라며 “그런데 그 답이 틀리면 어떻게 되겠나. 그 기회는 여러 번 오지 않는다. 그것을 굉장히 잘 준비하고 실력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