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혁신위 “공천 후보 부적격 심사권 윤리위로 분산” 1호안 채택

입력 2022-08-22 21:02
최재형 혁신위원장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혁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공천 후보자 부적격 심사 권한을 중앙당 윤리위원회로 분산시키는 방안을 ‘1호 혁신안’으로 내놨다.

최재형 혁신위원장은 22일 국회에서 혁신위 전체회의를 마친 뒤 “공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공천관리위원회로 일원화된 공천 기능 중 후보자 부적격 심사 권한을 분산해 그 기능을 윤리위에 부여하는 방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또 “윤리위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 윤리위원장 임기를 현재 1년에서 당대표 임기보다 긴 3년으로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리위원 임명 절차에 있어서 최고위 의결뿐만 아니라 상임전국위원회 추인을 받도록 하는 안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이어 “윤리위원 자격 요건을 강화해 사실상 당내 사법기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도 함께 채택했다”고 말했다.

혁신위 1호안을 두고 당내에선 상반된 평가가 나왔다.

한 수도권 의원은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이 ‘안정’을 강조하며 일단 누구나 합의할 수 있는 것부터 하고 두 번째로 당이 혁신할 수 있는 걸 하자고 당부한 것으로 안다”며 “이해관계가 첨예할 수 있는 공천제 손질을 (혁신위가) 1호안으로 내놓은 건 그 취지와는 어긋나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른 초선 의원은 “벌써부터 공천제도와 관련한 논의를 꺼내는 게 생뚱맞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한 비대위원도 “공천은 공관위가 구성돼야 논의를 하는 것”이라며 “지금 모든 걸 다 결정해놓을 필요도 없고, (1호안은) 그냥 논의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한 원내 핵심 관계자는 “어차피 윤리위가 지금도 당내 사법기구 역할을 하고 있고, 그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것이어서 특별히 충돌이 일어날 지점은 없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혁신위 1호안은 비대위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정식으로 채택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이날 혁신위 회의는 3시간30분가량 이어졌다. 혁신위는 비공개 회의에서 국민의힘 공직 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확대 여부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추가적으로 논의할 게 더 있어 추후 확정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