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앞에 공공분양주택과 오피스텔이 들어선다. 2020년 용산역 앞 유수지가 건축위탁개발지구로 지정된 지 2년 만에 사업계획이 의결됐다.
기획재정부는 19일 열린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에서 2023년도 국유재산 종합계획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날 용산 도시재생혁신지구 국유지 위탁개발 사업계획, 울산 덕하역 폐선 부지 토지위탁개발 사업계획, 세종국책연구단지 제2연구청사 위탁개발 사업계획 등 3개안도 의결됐다.
정부는 용산역 앞 유수지를 개발해 청사, 오피스텔, 공공분양주택 등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청년층을 위한 공공분양주택 333호와 업무용 오피스텔 168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신산업체험관도 건립해 청년 창업과 신산업 육성 등을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
그 외 국방대 서울캠퍼스, 국군복지단, 방위사업교육원, 방산기술센터, 용산세무서 등도 들어선다. 정부는 내년 중 설계를 마치고 2024년 착공,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잡았다.
울산 덕하역 이전으로 발생한 유휴부지를 주택용지, 공공문화체육시설, 업무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계획도 의결됐다. 울산석유화학산업단지 근로자와 지역 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417호의 공공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공공주택 지구 조성사업 인허가를 거쳐 2025년 착공, 2028년 부지 조성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세종국책연구단지 제2연구청사도 들어선다. 세종국책연구단지는 2014년 완공됐으나 공간 부족으로 일부 연구원들은 민간 건물을 임차해 사용 중이었다. 새롭게 생기는 제2연구청사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는 2024년 착공,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잡았다.
이날 의결된 2023년 국유재산종합계획에는 민간 중심 경제 선순환을 목표로 하는 4개 정책 방향이 담겼다. 민간의 적극 활용하는 국유재산, 민간과 함께 하는 국유재산 개발, 국가정책을 뒷받침 하는 국유재산 활용, 관리체계 혁신으로 재산가치 증대 등이다.
최상대 기재부 제2차관은 “민간 경제 활력 제고에서부터 주요 국가정책 뒷받침에 이르기까지 국유재산이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도 강조했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