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명의 담화로 대북 정책인 ‘담대한 구상’에 거부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김정은 위원장은 7차 핵실험 단추를 만지작거리던 중 김여정의 입을 통해 윤석열정부를 한번 떠볼 심산으로 이런 메시지를 던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김여정의 발언으로 북한은 비핵화할 의사가 전혀 없음이 다시 한번 확인됐고 문재인 정권 5년 내내 일관했던 대북 굴종 외교도 완전히 실패했음이 입증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핵을 무기 삼아 판 돈 한번 제대로 뜯어볼 요양이라면 부질없는 망상일 뿐”이라며 “한미연합훈련을 의식한 김여정의 이런 발작적 반응에 대해 호떡집에 불난 듯 호들갑을 떨 이유는 없지만 그렇다고 문재인 정권처럼 북한 달래기에 급급해 전전긍긍하며 저자세로 일관할 필요도 없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과거에도 북한은 남한의 정권교체기마다 대결 분위기를 조장하면서도 물밑 대화를 모색하는 이중플레이 전략을 많이 써왔다”며 “김 위원장의 그 거친 눈빛과 불안한 시선이 느껴질 정도로 사면초가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석열정부가 김 위원장의 이런 뻔한 술책에 놀아날 일은 없겠지만, 그 대처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도발엔 단호히 대응하되 대화의 문마저 닫아버릴 이유는 없다. 북한의 교란작전에 당당하고 정교한 대북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맞물려 식량·인프라 지원 등 경제협력 방안에 정치·군사적 상응조치까지 제공하겠다는 ‘담대한 구상’을 북측에 정식 제안한 바 있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은 18일 담대한 구상에 대해 “허망하다”며 “앞으로도 또 무슨 요란한 구상을 해갖고 문을 두드리겠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린 절대 상대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15일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 지 사흘 만에 거부 입장을 공개 표명한 것이다. 담대한 구상은 이명박 정부 시절 ‘비핵·개방 3000’의 복사판이라는 평가도 있었으며, 그 전제가 되는 ‘비핵화 의지’ 자체가 없다는 점도 강조됐다.
또 윤 대통령을 ‘짖어대는 개’, ‘제멋에 사는 사람’ 등으로 지칭했으며 ‘어리석음의 극치’, ‘천진스럽고 어리다’는 등 표현으로 비방햇다. 뿐만 아니라 “남조선(한국) 당국의 대북정책을 평하기에 앞서 우린 윤석열 그 인간 자체가 싫다”는 언급도 담았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