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가 한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3불(不)·1한(限)’ 정책을 ‘선서’(宣誓)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이후 ‘널리 알린다’는 뜻의 ‘선시’(宣示)로 고친 것과 관련해 우리 외교부는 “사드가 양국 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이 사안에 대해 중국 측과 적극적으로 필요한 소통을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른바 ‘사드 3불’은 사드를 추가 배치하지 않고,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시스템 및 한·미·일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한(限)’은 경북 성주에 이미 배치된 사드의 운용 제한을 뜻한다.
‘선서’는 대외적 공식 약속이라는 뉘앙스가 강한 반면, ‘선시’는 입장을 널리 표명했다는 뜻에 가깝다.
‘선서’와 ‘선시’가 중국어로는 발음과 성조가 같아 중국 측이 이를 혼동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 당국자는 “중국어는 성조가 같은 한자가 여러 개 있어 이런 일은 늘 일어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양쪽 모두 (사드가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인식 취지에 입각해 이번 사안을 다루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 측이 ‘선서’라고 표현한 데 대한 한국 내 반응을 살펴본 뒤 표현을 수정했을 수 있다는 취지로도 읽힌다.
외교부는 ‘선시’라는 표현이 그간 중국이 ‘약속’이나 ‘합의’라고 했던 것과 상당히 거리가 있는 표현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이 ‘합의’나 ‘약속’이란 표현보다 약한 ‘선시’라는 표현을 쓴 것은 자신들도 (사드 3불-1한이) 합의나 약속이 아니란 점을 인정하면서 나름의 태도 변화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왕원빈 대변인의 전날 브리핑 질의응답록에 “한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3불·1한의 정책 선서를 정식으로 했고…”라고 기재했다가 이를 이후 “정책 선시”로 수정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