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호우 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대심도터널도 검토”

입력 2022-08-11 16:52 수정 2022-08-11 16:54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11일 “호우가 그치면 상세한 피해 조사가 즉각 시작되고, 조사에 따라 피해를 받은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에서도 강력하게 그렇게 요청하고 있고, 저희가 보기에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서울 강남역과 대치동을 비롯한 상습 침수지역에 빗물저류배수시설(대심도 터널)을 만들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대심도 터널은 지하 40~50m 깊이에 지름 10m 크기의 대형 배수관이다. 호우 상황에서 빗물을 저장했다가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서울의 경우 양천구 신월동에만 대심도 터널이 건설돼 있는데, 이를 다른 지역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한 총리는 “저류 빗물터널(대심도 터널)은 당연히 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한다”며 “당초 계획이 만들어졌지만 행정을 책임지는 분들이 바뀌기도 하면서 취소되고 한 것들이 정말 아쉽다”고 설명했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 이후 강남을 포함한 서울의 상습 침수 지역 7곳에 대심도 터널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오 시장이 물러나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취임한 이후 계획이 무산됐다.

한 총리는 “기후 위기를 염두에 두고 조금 과하다고 할 정도로 대응을 하는 것이 좋겠다”며 “그런 점에서는 좀 과감한 투자를 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고 곧 (대심도 터널 건설을 위한) 검토와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115년 만의 폭우에도 대통령실이 아닌 자택에서 전화로 보고를 받고, 호우 대책을 지시한 것과 관련해선 “(대통령이) 위기 상황에 꼭 현장에만 있어야 한다는 건 아닌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는 “워낙 좋은 통신 수단 등이 다 있기 때문에 그렇게 (자택에서 원격 지휘) 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관계기관과 영상회의를 하고 집중호우 대처 상황을 점검했다.

총리실은 응급복구 대상 4047건 가운데 3741건(92.4%)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