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는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년대변인으로 자리를 옮긴 박민영 대변인에게 “박 대변인에게 충성을 요구한 적이 없으니 충성을 받은 적이 없다. 충성을 받지 않았으니 배신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박 대변인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실로부터 청년대변인 제의를 받았다고 밝힌 뒤 이 대표를 향해 “가처분이 인용돼도 당정 혼란의 책임으로부터 자유롭기 어려울 것”이라며 “기각된다면 정치적 명분을 완전히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 대표가 기획했던 대변인 선발 토론배틀 프로그램 ‘나는 국대다’ 출신으로 이준석계로 분류됐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대변인이 이 대표를 배신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이에 박 대변인은 “‘배신자’라는 표현은 사람에 충성하는 이들의 언어”라며 “저는 단 한 번도 사람에 충성한 적 없으며, 사람을 배신한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 역시 “박 대변인이 당 대변인으로 있는 동안 저는 단 하나의 지시도 내린 바가 없다”며 “자유가 가진 큰 기회와 가능성을 믿었기 때문이다. 박 대변인은 누구보다 그 자유를 잘 활용했다”고 수긍했다.
그러면서도 “같은 대변인 직함이지만 그곳의 근무환경은 좀 다를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때 인터넷상에서 ‘밈(Meme)'처럼 쓰이던 미국 드라마 ‘로스트’ 출연자들의 한국어 발음 패러디를 언급하며 “젊음이란 자유의 모미(몸이) 아니면 햄보칼수가(행복할 수가) 업는데(없는데) 잘 헤쳐나가길 기대한다”고 응원의 말을 건넸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