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며 서울 강남 일대가 침수된 지난 8일 강남 일부 숙박업소가 가격을 대폭 올려 판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호우 피해로 강남 일대 도로가 물에 잠겨 차량이 침수되고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도 중단되면서 많은 시민이 귀가를 포기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인근 숙박시설이 객실 가격을 평소보다 두 배 넘게 올린 것이다.
지난 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실시간으로 강남 모텔 숙박시설의 가격을 캡처한 사진이 올라왔다.
지난 8일 숙박 앱 화면을 캡처한 사진 속에는 강남역과 역삼역 주변 지역의 호텔과 모텔이 대부분 예약이 마감된 상태로 표시돼 있었다. 그나마 남아 있는 방은 25만~30만원에 예약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런데 해당 숙소들의 기존 평소 가격은 이의 절반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8일 25만원 가격이 떠 있던 역삼역 부근 모텔은 날짜 설정을 10일로 바꾸니 숙박비가 12만원으로 낮아졌다. 다른 숙박시설 역시 날짜를 1주일 뒤인 오는 15~19일로 설정하자 원래 숙박비는 9만원으로 나타난다.
해당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저 돈이면 호텔을 가겠다”, “재해 입은 사람들에게 더 뽑아먹겠다는 마인드는 아닌 것 같다”, “말 그대로 물 들어왔으니 노 젓네”, “자연재해가 대목이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비난했다.
그러나 일부 누리꾼은 숙박업소 특성상 어쩔 수 없다며 두둔하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이게 자유주의 시장경제라며 수요가 많을수록 한정된 재화의 가치가 올라가는 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을 내놨다.
자신을 자영업자라고 밝힌 또 다른 누리꾼도 “재난이기 때문에 (방 가격을) 정상가로 하자거나 금액을 낮추자는 것은 유토피아적 이야기”라며 “대한민국은 엄연히 자본주의 사회이며 수요와 공급 논리는 불변이다”라고 주장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법적으로 이 같은 업소의 가격 정책을 규제하거나 제재할 방법은 마땅치 않다. 1990년부터 자율요금 표시제가 도입돼 숙박업주는 받으려는 금액을 정확히 게시했다면 그 자체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