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9일 폭우 대응과 관련해 “대통령이 사실상 이재민이 된 상황을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느냐”고 꼬집자,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눈에는 삼라만상 모든 것이 정쟁의 소재로 보이느냐”고 반박했다.
조오섭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의 재난 대응을 실시간으로 점검해야 할 윤석열 대통령은 끝까지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밤 서초동 사저 주변 침수로 전화통화로 한덕수 국무총리 등과 대책을 논의했다.
조 대변인은 “취임 전 무조건 대통령실과 관저를 옮기겠다는 대통령의 고집이 부른 참사”라며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시적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이 ‘대통령이 있는 곳이 곧 상황실’이라고 해명한 것에 대해서는 “그런 논리라면 NSC(국가안보보장회의) 위기관리 센터 등은 무슨 필요가 있는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도 일제히 윤 대통령의 대응을 비판하고 나섰다.
강훈식 당대표 후보는 “일분일초를 다투는 국가 재난 상황 앞에 총책임자여야 할 대통령이 비가 와서 출근을 못 했다고 한다”며 “청와대를 용산 집무실로 옮길 때 국가안보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던 것이 불과 3개월 전”이라고 지적했다.
고민정 최고위원 후보 역시 “문재인 대통령 당시 관저에서 위기관리센터까지 1분, 중대본까지 5분 거리였다”고 꼬집었고, 송갑석 최고위원 후보는 “컨트롤타워가 아닌 ‘폰’트롤타워”라고 비꼬았다.
이에 국민의힘은 “정치공세”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100만 호우피해에도 대통령에 대한 정치공세에만 열을 올리느냐”며 “현 정부가 대통령실을 이전한 것까지 끄집어내 공격하는 민주당을 보며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현재까지 사망자만 8명, 실종자 6명의 인명피해와 39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중부지방에는 추가 폭우가 예보된 상황”이라며 “국회 최다 의석수를 가진 책임 있는 제1야당이라면 우선 국회 차원에서의 호우 대처와 피해 복구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폭우가 내리고 있던 상황에서 경호와 의전을 받으며 외부로 나간다면 현장 인력들의 대처 역량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자택에 머무르며 상황에 대처한 것”이라고 엄호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