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9일 기록적 폭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대통령실을 비판했다. 최 전 수석은 “아무리 처음 해보는 대통령 보좌라지만 이번 일은 해명이 불가하다”며 “대통령실이 왜 있는지 존재 이유가 의문이 들 정도로 어제는 큰 사고를 쳤다”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페이스북에 전날 폭우로 발생한 피해를 언급하며 “컨트롤타워가 됐어야 할 윤석열 대통령이 보이지 않았다는 지적들이 많다”며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자택 주변 침수 피해로 인해 현장 지휘가 불가능했다는 해명이다. 이 때문에 밤새 전화로 대응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적으로 대통령실의 문제”라며 “이미 기록적 폭우가 예상됐던 만큼 애초부터 대통령을 귀가시키지 말았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최 전 수석은 “저희였다면 대통령의 안전을 비롯한 경호 문제는 물론, 재난 상황에서의 지휘 공백과 혹시 모를 안보 공백을 막기 위해서라도 대통령의 귀가 대신 별도의 조치를 취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판단을 하라고 대통령실이 있는 것”이라며 “비서실, 경호처, 안보실의 수장들이 대통령 바짓가랑이를 잡고 늘어지더라도 어제는 대통령을 집무실에 남겼어야 했다. 그런 생각 자체를 안 했으니 귀가 방치를 했던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 전 수석은 “어제 대한민국은 경호, 지휘, 안보에 있어 세 개의 큰 공백이 생겼다”며 “그 사고 때문에 대통령이 재난지휘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은 물론 자택 주변 침수로 대통령 본인의 안전 역시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었다”고 거듭 비판했다.
또 당선 이후 추진했던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도 언급했다.
최 전 수석은 “사실 이번 문제는 졸속으로 진행한 집무실 이전이 근본 원인이고 어제와 같은 비상상황 때문에 대통령 관저와 집무실은 가까워야 한다는 걸 증명했다”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이미 대통령의 사저 출퇴근이 현실이 된 상황에서 대통령을 아무 생각 없이 귀가하도록 방치한 대통령실의 과오는 어처구니없다”며 “문책 없이 지나가기엔 너무 엄중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