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대위 통해 ‘반전 모멘텀’ 찾는다…이준석 반발 ‘최대 변수’

입력 2022-08-07 15:21 수정 2022-08-07 17:58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통해 ‘반전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비대위는 오는 9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계획대로 9일 비대위 체제가 발족할 경우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 이후 의총을 통해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가 추인받은 지 29일 만에 지도부 체제 전환이 이뤄지는 것이다.

국민의힘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7일 “새로운 정부가 출범한지 약 세 달이 지나도록 당 지도부가 내홍에 시달리면서 윤석열정부를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했다”며 “비대위 전환이 당내 갈등과 지지율 하락 추세를 일거에 뒤집을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6·1 지방선거 직후 본격화된 ‘이준석 윤리위 징계 정국’을 지나며 극심한 내분에 휩싸였다.

여기에다 ‘내부총질 문자 유출’ 사태까지 겹치면서 갈등은 극에 달했다. 지지율 하락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봐야 하는 상황까지 펼쳐지자 비대위 전환을 반전 카드로 내놓은 것이다.

국민의힘은 전국위가 소집될 9일 비대위 전환을 위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 짓는다는 시간표를 짜 두고 있다.

전국위는 9일 오전 당대표 직무대행에게 비대위원장 지명권을 부여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앞서 상임전국위는 지난 5일 전국위 소집을 공고하면서 해당 개정안을 전국위 안건으로 올렸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등을 통해 마지막으로 당내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친 뒤 비대위원장을 지명하게 된다.

이어 같은 날 오후 전국위에서 권 대행이 지명한 비대위원장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하게 되고, 과반의 찬성이 나오면 비대위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된다.

9일 전국위 시나리오를 이처럼 촘촘하게 짠 것은 절차상 흠결에 따른 무효소송 빌미를 남기지 않겠다는 권 대행 측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비대위원장으로는 5선의 주호영 의원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2020년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지낸 주 의원은 합리적 성품에 당내 사정에 밝아 위기에 빠진 국민의힘을 안정적으로 이끌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이 대표와 당내 ‘비윤’ 세력들의 반발이다.

이 대표는 비대위 출범이 이뤄지면 전국위의 관련 의결 절차와 내용에 대해 곧바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하태경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개정안 통과 즉시 이 대표는 법원에 비대위 무효 소송을 할 수밖에 없다”며 “법원에서 판결이 나기 전까지 우리당은 극심한 내홍에 휩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당의 운명을 정치인들이 결정 못하고, 판사가 결정하는 한심한 정당이 될 수는 없다”며 “비대위 당헌 개정안을 부결시켜 달라”고 전국위원들에게 호소했다.

정현수 강보현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