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상임전국위, ‘비상상황’ 의결…비대위 전환 초읽기

입력 2022-08-05 11:37 수정 2022-08-05 14:56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서병수 상임전국위원회 의장이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자리에 앉아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가 5일 당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결론내리며 비대위로의 전환을 추인했다.

앞서 의원총회 논의와 최고위원회 의결에 이어 상임전국위도 비상대책위 출범의 전제조건인 ‘비상상황’이라는 결론을 내림에 따라 비대위 체제 전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상임전국위는 이날 참석인원 40명 가운데 29명의 찬성으로 현재의 당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보는 내용의 당헌당규 유권해석 안건을 의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비대위원장 임명 권한을 ‘당대표 직무대행’으로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전국위에 상정하는 안건도 40명 중 26명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재적인원 54명 중 38명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가 시작됐지만 이후 참석자가 2명 늘어났다.

오는 9일 전국위에서 당헌 개정과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이 이뤄질 경우 비대위 체제 전환이 본궤도에 오르게 된다. 비대위원장이 사전에 내정될 경우 비대위원장 임명 안건도 당일 의결될 예정이다. 이후 이르면 이달 중순 비대위 구성이 완료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전국위는 위원 정수가 최대 1000명에 달하는 만큼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표결이 이뤄진다.

서병수 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 의장이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상임전국위원회 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상임전국위가 이날 비대위 체제를 추인하면서 이준석 대표의 복귀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서병수 의장은 “당헌당규상 비대위가 구성되면 최고위, 지도부가 해산한다는 조항이 있다. 이것은 현재 당대표 ‘사고’ 유무와 상관이 없는 것”이라며 “자의적 해석이 아니라 당헌당규에 못 박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관계자)을 공개 비판하며 SNS 여론전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사람들 일정 맞춰서 과반 소집해서 과반의결 하는 것도 귀찮은지 ARS 전국위로 비대위를 출범시키려고 한다”며 “공부모임한다고 국회에 수십·수백명씩 모이다가 전국위는 ARS로 해야하는 이유는 또 뭐냐”고 따져물었다.

사실상 자신에 대한 해임으로 연결되는 상임전국위 소집 및 의사결정 과정이 졸속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측이 비대위 체제 전환과 관련한 법적 대응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