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 입국 당시 공항에 한국 측 관계자가 한 명도 없었던 것과 관련해 ‘외교 결례’ 논란이 일고 있다.
국민의힘 측에서는 “국회에서 의전상 결례를 했다”는 지적을 제기했고, 국회 측은 “의전을 나가지 않기로 펠로시 의장 측과 사전협의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펠로시 의장이 탑승한 전용기는 3일 밤 9시26분쯤 경기도 오산 공군기지에 착륙했다. 공항에는 미국 측 관계자들만 펠로시 의장을 영접했고 우리 정부나 국회 측 관계자는 따로 나오지 않았다.
펠로시 의장은 공항 도착 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서울 호텔로 이동했다. 취재진의 포토라인이 설치된 호텔 정문이 아닌 후문으로 호텔을 들어갔다.
TV조선은 주한 미국대사관 관계자를 인용해 “펠로시 의장은 한국 측 의전 관계자가 아무도 안 나온 것에 대해 매우 불쾌하게 생각한다”고 보도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현장에 정부 관계자가 없었던 것에 대해 “의전상 입법부 인사가 오면 행정부(외교부)에서 따로 개입하지는 않는다”며 “혹시나 의전이 필요하다면 입법부인 국회에서 카운터파트가 되는 게 맞는다”고 설명했다.
여권에서는 한국 측 의전이 없었던 것에 대해 부적절한 외교 결례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4일 페이스북에 “공항 도착 시 한국 국회에서 아무도 의전을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며 “국회의장은 이 심각한 결례에 대해 펠로시 의장에게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미 하원의장은 우리로 치면 국회의장이기 때문에 의전 파트너는 정부가 아니라 당연히 국회”라며 “국회에서 방한 환영 의전팀이 나가야 하는데 아무도 안 나갔다고 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이어 “만약 우리 국회의장이 미국에 도착했는데 미국 의회에서 아무도 마중 나오지 않고 냉대한다고 생각해 보라. 얼마나 큰 외교적 결례이고 대한민국 무시인가”라고 했다.
윤희석 전 국민의힘 대변인도 이날 오전 TV조선에 출연해 “외교라는 게 의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라며 “방문하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아무도 안 나온 것이 사실이라면 결례가 맞다”고 말했다.
국회 측에서는 미국 측과 국회가 사전 실무협의를 거쳐 의전을 나가지 않기로 했다는 입장이다.
국회 관계자는 “주한 미국대사관 측에서 ‘불쾌해했다’는 보도가 왜 나온 것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펠로시 의장을 만나지 않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만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 직후라 외교적 부담을 느낄 수도 있지만 대만 방문과 한국 방문은 별개의 문제”라고 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이날 오후 펠로시 의장과 전화 통화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