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3일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지도부 체제 전환을 요구하는 익명 성명서를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목숨이 위협받던 일제시대에도 독립선언서는 최소한 실명으로 썼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관련 기사 링크를 첨부한 뒤 “이 모든 난장판의 첫 단계인 초선 모임 성명서부터 살펴보니 익명으로 의원들이 참여해서 숫자를 채웠다”며 이처럼 지적했다.
앞서 박수영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초선 의원 63명 중) 32명이 (성명서에) 서명을 했다”며 “지도부의 결단을 보고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다시 액션을 취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이에 이 대표는 “익명으로 성명서를 만들어 발표하는 문화는 무엇이냐”며 “실명으로 참여한 분들도 왜 이름을 공개하지 못하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정리해서 앞으로 모든 내용은 기록으로 남겨 공개하겠다. 곧 필요할 듯해서”라며 “이런 이름들은 그리고 나중에 일괄 공개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대표는 일부 최고위원들이 사퇴를 선언한 뒤에도 비대위 전환을 위한 최고위 표결에 참여한 것을 언급하며 “언데드(Undead) 최고위에, 익명 성명서에, 어디까지 가나 봐야죠”라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