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등 녹조 발생 급증…경남도, 15개 시군과 공동 대응

입력 2022-08-03 17:19
창녕함안보. 경남도

낙동강과 남강댐에서 발생한 녹조가 급증함에 따라 경남지역 15개 시군이 대책 마련과 공동 대응에 나선다.

3일 경남도에 따르면 창원·진주·김해·사천·밀양·양산 등 6개 시와 의령·함안·창녕·고성·하동·산청·함양·거창·합천 등 9개 군의 담당과장과 경남연구원 전문가 등 20명은 수자원공사 창녕함안보 사업소에서 회의를 열고 녹조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저감 대책을 논의했다.

현재 낙동강 칠서, 물금·매리 지점에는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내려져 있고, 남강댐에는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이다.

최근 사흘간 도내에 평균 75㎜가량의 비가 내리면서 녹조 발생이 잠시 완화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앞으로 낙동강수계인 경상남북도 전역에 많은 비가 내리지 않는다면 녹조 발생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낙동강 대부분의 댐 저수율과 하천 유량이 예년과 비교해 매우 저조한 수준이어서 비상 상황 발생 시 사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녹조가 급증함에 따라 경남지역 15개 시군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남도

회의 결과 우선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시행하기로 했다. 조류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녹조 원인물질인 총질소(T-N)와 총인(T-P)을 하천으로 직접 다량 배출하는 공장과 대형 가축분뇨 배출업소(재활용 신고 사업장 포함), 개인 하수처리시설에 대해 규모별로 매주 1회 점검한다. 또 시군별 녹조 및 오염 심각 지역(하천)을 선정해 환경오염 감시 활동도 매일 1회 이상 시행하기로 했다.

하수처리장 방류수는 시설설치 상황 등 하수처리장별 실정에 따라 평상시 총인(T-P) 배출농도 보다 추가 줄여 배출할 것을 권고했고, 도에서는 추가 감축에 필요한 약품비 지원 등을 환경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더불어 고도정수처리에 필요한 수처리제 중 CO2 수급 문제 해소를 위해서도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할 계획이다.

원수와 정수된 수돗물에 대한 조류독소와 냄새 모니터링도 강화키로 했다.

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