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 시행 5개월을 앞두고 전국 지자체들이 준비에 바쁜 걸음을 보이고 있다. 각 지자체는 이 제도가 재정 보충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성공적 안착을 위한 홍보와 답례품 개발 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전북 무주군은 최근 고향사랑기부제 전담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대비에 나섰다고 3일 밝혔다.
무주군은 이달 중 행정안전부의 시행령이 공포되면 지역 실정에 맞는 조례를 제정하고 답례품 선정위원회 구성과 답례품 선정, 기금 설치, 홍보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매력 있는 답례품을 개발하기 위해 지역 생산품을 전수 조사하고, 답례품 아이디어와 기부금 활용을 위한 군민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조정선 무주군 고향사랑기부팀장은 “고향사랑기부제는 군 재정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향사랑 기부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경기 수원시는 ‘고향사랑기부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운용하고 있다. TF팀은 행정과 답례품, 사업 등 3개 분야 12개 부서로 구성했다. 충남 당진시와 울산시 울주군 등 대부분의 지자체도 이 제도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강원도는 관련 조례 제정 준비에 이어 기금을 운용할 심의위원회와 답례품 선정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본격 대응하고 있다. 도는 한라대 산학협력단에 전략 수립과 차별화된 답례품 발굴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한데 이어 강원연구원에 지방재정 유입 효과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도 의뢰했다. 강원도의 경우 이 제도를 통해 출향 도민들로부터 2000억 원이 넘는 기부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남은 5개월간 채비와 홍보, 답례품 등이 향후 기부액 차이를 불러올 것으로 보고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전북 장수군은 농‧축협과 지역특산품에 이어 관광자원 체험권과 숙박권 등 다양한 상품을 함께 개발하고 있다. 전남 해남군은 이달 말까지 군민을 대상으로 향후 기부금 활용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있다. 선정된 제안에는 최대 300만원의 상금을 주기로 했다.
더불어 농협중앙회도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농협 차원의 준비사항을 적극 논의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고향사랑기부제 추진위원회를 잇따라 열고 ‘연계 예·적금 등 금융(공익) 상품 개발’ ‘특화 신용카드 상품 출시’ 등에 역량을 모아가기로 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고향에 연간 500만원 한도에서 기부하면 세제 혜택과 답례품을 제공하는 제도다.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을 공제해주고, 10만원을 초과하면 16.5% 공제한다. 자치단체는 기부금의 30% 이내에서 답례품을 제공할 수 있다.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조성된 기금은 취약계층·청소년 지원, 문화·예술·보건 증진,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쓰인다.
이 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제를 모델로 만들었다. 일본은 도입 첫 해인 2008년 모금액이 865억원이었으나 12년뒤인 2020년엔 7조 1486억원으로 83배나 늘었다. 기부 건수는 650배가 증가했다.
무주·춘천=김용권 서승진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