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3일 당내에서 일정 기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유지한 뒤 조기 전당대회를 열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것에 대해 “이준석 대표의 컴백을 차단하려는 목적”이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비대위가 당의 위기를 더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 전날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전국위원회 소집 안건에 의결한 배현진·윤영석 의원을 향해 쓴소리를 내뱉었다. 하 의원은 “당에서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지만 결국 형식 논리”라며 “국민들이 볼 때는 당이 과연 공정과 상식의 길을 걷고 있는지 의문을 충분히 제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목적은 이 대표를 몰아내려는 것이다. 당원권 정지 기간이 지나면 컴백하기로 지난 의총에서 합의했다”며 “이 대표도 징계를 승복하지 못하고 있다. 몰아내려면 당당하게 추진해야 하는데 지금은 성동격서(聲東擊西·동쪽에서 소란을 피우고 서쪽을 공격한다는 뜻)”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전국위원회를 통해 당대표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지명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겠다는 것과 관련해선 “당 중앙윤리위원회가 첫 단추를 완전히 잘못 끼는 바람에 당 전체가 혼란스럽다”고 주장했다. 이어 “직무대행은 대표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형식적으로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못 뽑으니 당헌·당규를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비대위로 가더라도 이 대표가 컴백 가능한 시한부 비대위가 필요하다”며 “이 대표가 5개월 뒤에 돌아온다. 비대위도 그 기한에 한정하고, 당헌·당규도 그것에 맞게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대위가 출범하더라도 이 대표가 돌아올 수 있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빨리 제출해 당원들과 전국위원들이 공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 대표가 징계 끝나도 못 돌아오게 막는다면, 이 대표가 법원에 소송을 걸면 이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