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일 의원총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지도부 혼란 상황을 수습하기 위한 해법으로 비대위 체제를 선택한 것이다.
특히 권성동 원내대표는 “질서 있는 전환이 중요하다”는 말을 주변에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의총에서도 권 원내대표 거취 관련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의원들이 권 원내대표의 ‘질서 있는 수습’ 기조에 동의하며 비대위 전환에 집중하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향후 비대위 운영 기간과 비대위 이후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 등을 놓고 당내 갈등이 다시 폭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의총에 참석한 영남권의 한 의원은 “김웅 의원이 반대 의견을 내자 권 원내대표가 ‘소수 의견으로 남겨두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 초선 의원은 “김 의원이 반대 의사를 말했을 뿐 그 이유에 대해선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의총에서는 조해진·김미애 의원만 공개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에게 “이 대표가 돌아오는 것을 전제로 비대위를 해야 한다. 이 대표가 못 돌아오는 비대위는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핵심인 장제원 의원도 의총에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장 의원은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를 결의했던 지난달 11일 의총에는 불참했었다.
장 의원은 의총 후 취재진과 만나 “이 상황이 비상 상황이라는 데 의원들 모두 합의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합의된 내용에 동의하나’라는 질문에는 “제가 참석했으니까요”라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반면 권은희 의원은 “(의총 결과에 대해) 찬반 의견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도 “당내 민주주의가 아닌 ‘윤심(尹心)주의’로 당이 운영돼 가는 데 대해선 맞지 않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의총에 앞서 열린 초선·재선·중진 등 선수별 모임에서도 비대위 체제를 추인하는 모습이었다. 초선 운영위원인 전주혜 의원은 권 원내대표와의 간담회 이후 “지도부가 비대위 전환 쪽으로 방향을 잡았고, 지도부 결정에 적극 공감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김도읍 의원은 중진 모임 후 기자들에게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정 이후 지금까지 당대표를 물러나게 할 수밖에 없는 사정 변경이 있느냐”며 “근본적인 해법을 찾아야지 왜 비대위를 몰아붙이나”라고 지적했다.
중진 의원 모임에는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주호영 의원도 참석했다. 차기 당권 주자로 꼽히는 김기현 의원도 중진 모임에 얼굴을 비쳤다.
친이준석계 인사들은 의총 결과에 거세게 반발했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의총 직후 페이스북에서 “제 개인 의사와 관계없이 ‘비상’이라는 수사로 국민과 당원이 부여한 정당성을 박탈하겠다는 생각은 민주주의의 역행”이라고 주장했다.
손재호 강보현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