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 ‘원스톱진료기관’이라더니… 허점 많은 코로나19 대면진료

입력 2022-08-01 15:16

기자의 지인 A씨(31)는 지난주 어머니가 코로나19 양성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사흘 뒤 A씨 역시 열이 오르고 목이 쓰라렸다. 밭은 기침에 코막힘과 가래가 겹치며 목소리도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말로만 듣던 코로나19 의심증상이 한꺼번에 닥친 것이다. 며칠 뒤 아버지까지 확진 판정을 받자 A씨는 지난달 30일 검사를 받기 위해 병원을 검색했다. 천식을 앓은 적이 있어 검사와 함께 진료까지 받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다.

A씨는 정부가 검사부터 진료, 처방까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진료기관’을 포털에서 검색하라고 했던 뉴스를 떠올렸다. 검색 뒤 목록에 나온 집 앞 B가정의학과에 먼저 들렀다. 그러나 안내데스크에 앉은 간호사는 그가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러 왔다는 소리를 듣자마자 고개를 가로저었다. “왜 잘못된 정보가 올려져 있는지 모르겠다”고 한 간호사는 “매번 찾아오시는 분들을 돌려보내느라 힘들다”고 했다.

헛걸음을 한 A씨는 다시 포털을 뒤져 원스톱진료기관으로 기재된 C내과의원을 찾았다. 하지만 무더위에 20여분이 걸려 도착한 이곳에서도 검사를 받을 순 없었다. 코로나19 검사와 진료를 받으러 왔다는 소리에 안내데스크로 나온 의사는 병원이 원스톱진료기관인 건 사실이지만 지자체 보건소로부터 호흡기환자진료센터 허가 절차를 다시 밟는 중이라 처방만 가능하고 검사와 진료는 할 수 없다고 했다.

슬슬 지치기 시작한 A씨는 이번에는 다른 원스톱진료기관 D이비인후과에 직접 전화를 걸었다. 이곳에서 다행히 검사를 받고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코로나19 진료는 받지 못했다. 건물 내부 동선상 코로나19 환자는 특정시간대 예약진료만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 사이 증상이 더 악화된 A씨는 “정부가 하라는 대로 세 군데나 돌아다녔는데 진료 한 번을 받지 못했다”고 울분을 토했다.

정부는 지난달 1일부터 코로나19 대면진료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달라 이름으로 구분해왔던 호흡기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전화상담 병·의원 명칭을 ‘호흡기환자진료센터’로 통합했다. 그리고 이중에서 검사·진료·처방이 한 번에 가능한 곳을 따로 지정해 ‘원스톱진료기관’으로 분류했다. 이 목록은 정부 코로나19 홈페이지와 네이버 등 포털에 안내 중이다. 이중 가장 업데이트가 빠른 곳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평정보통’ 메뉴에서다.

정부가 1일부터 재택치료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 등 고위험군에게 실시해오던 전화 모니터링을 없앤 것 역시 이들 의료기관을 활용한 대면진료 중심 코로나19 의료체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지난달 31일까지 원스톱진료기관을 8816개소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대면진료의 중심이 되어야 할 현장 의료체계 안내는 A씨 사례에서 보듯 곳곳에서 구멍이 뚫려 있었다.

국민일보가 직접 확인한 결과 A씨가 처음 헛걸음했던 B가정의학과는 포털에 기재된 내용이 정부 홈페이지에 표시된 내용과 달랐다. 이곳은 포털에 원스톱진료기관으로 표시된 것과 달리 정부 홈페이지와 심평원 홈페이지에서는 전화상담만 가능한 비대면진료기관으로 표시됐다. A씨가 포털과 정부 홈페이지를 함께 대조해보지 않는 이상 정확한 정보를 알기가 어려웠던 셈이다.

두 번째 들른 C내과의원은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없었지만, 정부 홈페이지와 심평원 홈페이지에는 검사와 진료, 처방이 모두 가능하다고 표시되어 있었다. 정부 홈페이지에서조차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의료체계 개편안을 발표할 당시 7월 중 현황 정보가 실시간으로 온라인에 반영되는 시스템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그때까진 해당 의료기관에 전화를 걸어 확인해야 한다고 했었다. 그러나 7월 말까지도 직접 전화를 거는 걸 말고는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한 E정형외과 직원 김모씨는 국민일보에 “제가 담당자이지만 정확히 어디서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처음엔 정부 홈페이지에 나온 대로 안내를 했다가 환자들에게 항의도 들었다”며 “담당자도 이런데 일반인들이야 오죽하겠나”라고 말했다. 중수본 관계자는 원스톱진료기관 개수가 정확한 것이냐는 질문에 “운영 여부는 지자체를 통해 지속 점검 중”이라고 답했다.

포털에서 정보가 맞게 표기된 곳에도 아쉬움은 있었다. 포털에서는 정부 코로나19 홈페이지나 심평원 홈페이지와 달리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중 대면진료가 가능한지, 신속항원검사(RAT)나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가능한지 등 여부가 구분되어 있지 않다. 호흡기환자진료센터와 원스톱진료기관이 어떤 걸 의미하는지도 설명이 부족하다. 정부 홈페이지와 비교 검색하지 않고 포털 정보만 믿고 방문했다간 A씨처럼 헛걸음을 할 가능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인 것이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