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직무대행직을 내려놓으면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날 조수진·윤영석 의원도 최고위원직을 던졌다. 국민의힘 기존 지도부가 ‘와르르’ 무너지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다.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모두 9명이었다. 하지만 당연직 최고위원이었던 이준석 대표가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로 직무정지 상태를 맞았다.
또 배현진 의원, 김재원 전 의원이 이에 앞서 최고위원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이날 조수진·윤영석 의원이 최고위원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국민의힘 최고위원 9명 중 5명이 공석이 됐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비대위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비대위 체제 전환을 둘러싸고 이견이 해소되지 않은 점은 향후 혼란의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기재된 비대위 전환 요건은 ‘당대표의 궐위’와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이다.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최고위원 9명 중 과반인 5명이 공석인 상태이기 때문에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에 부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내대표 자리는 계속 맡는 권 대행이 이르면 이번 주 의원총회 등을 거쳐 비대위 체제를 선언한 뒤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비대위원장 임명에 착수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3선 의원 출신인 김태흠 충남지사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고, 재창당 수준으로 차기 지도부를 빨리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원장으로는 당내 5선 중진인 주호영·정진석·정우택·조경태 의원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반대 주장도 있다. 비대위원장을 선출하기 위해선 당헌·당규상 전국위의 의결을 거쳐서 당대표나 당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해야 한다.
그러나 당대표도 없고, 당대표 권한대행도 없는 상황에서는 비대위원장 임명이 불가능하다는 해석도 있다.
친이준석계로 분류하는 김용태 최고위원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지금은 당대표 사고 상황”이라며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에서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권한도 명분도 없다”고 주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위를 열어 당헌·당규를 개정하거나 새로운 부칙을 추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또 최고위원 9명 전원이 사퇴하는 경우에 한해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에 해당된다는 주장도 있다. 최고위원 전원 사퇴가 아닐 경우 충원이 가능해 최고위 기능은 살아 있다는 해석이다.
한 초선 의원은 “공석인 최고위원은 전국위를 소집해 다시 뽑으면 된다”며 “선출직 최고위원이 전원 사퇴하지 않으면 비상상황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일정 기간 비대위 체제를 유지한 뒤 조기 전당대회가 열릴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럴 경우 이 대표의 복귀가 사실상 불가능해져 친이준석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구승은 강보현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