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31일 감사원의 권익위 감사에 대해 “이례적 표적 복무감사”라고 비판하며 “위원장이 아닌 권익위 직원들에 대한 부당한 괴롭히기식 감사원 감사는 당장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반부패 기관이자 정치적 중립기관으로 기관장 임기가 보장되는 감사원이 또 다른 정부 부패 방지 총괄기관이자 독립기관으로 법률로 임기가 보장되는 국민권익위의 위원장 표적 복무감사를 이례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권익위는 작년에 감사원 정기감사와 인사혁신처 및 총리실의 인사 복무감사와 점검을 모두 받았고 작년 말 관련 조치를 모두 이행완료했다”며 “이 경우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3∼4년 후에 감사원 감사를 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주장했다. 감사원이 지난해 정기감사에 이어 1년 만에 다시 감사에 나선 데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굳이 감사원이 이례적 감사를 하려면 그 명백한 의도에 따라 위원장에 대해서만 감사해야지, 이미 작년에 충분히 관련 감사를 모두 받고 감사 지적에 대한 관련 조치까지 완료한 직원들에 대해 감사를 할 아무런 법적 근거나 정당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전 위원장은 감사원이 문제 삼은 근태·복무 관련 사항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감사원이 감사 근거로 든 제보사항의 주요 내용이 전 위원장의 지각 등 근태와 관련 있다고 알려진 데 대한 반박으로 보인다. 그는 "인사혁신처에서 매달 객관적 수치와 퍼센트까지 점검해 발표하는 정부부처 장관들의 세종출근율과 비교해 국민권익위가 항상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감사원 특별조사국은 권익위 공직기강 문제와 관련해 지난 28∼29일 예비감사를 진행했으며 다음 달 1일부터 3주간 본감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 위원장은 전날에도 권익위 직원들이 보내준 휴대전화 문자 내용을 페이스북에 공유했다. 전 위원장이 공유한 메시지는 17건의 메시지는 전 위원장의 근무태도에 문제가 없었고 감사원 감사를 비판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문재인정부에서 임명된 전 위원장은 여권의 사퇴 공세에도 임기를 마칠 때까지 자리를 지키겠다는 입장을 지키고 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