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혁신으로 투자 ‘1.6조+α’ 창출…정부 규제 TF 첫 성과

입력 2022-07-28 16:23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경제 규제혁신 TF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

정부가 규제를 풀어 자율주행로봇의 인도 주행, 드론 활용처 확대 등을 추진한다. 기업 관련 규제 완화로 정부는 1조60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경제 규제 혁신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규제 개혁의 구체적 내용을 발표했다. 추 부총리와 김종석 한국뉴욕주립대 석좌교수가 공동팀장을 맡은 TF는 지난달부터 실무협의를 하며 총 50건의 과제를 확정했다.

TF는 우선 현장 규제를 풀어 현대중공업과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대기업이 1조6000억원의 투자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소 등에서 쓰이는 자동용접 로봇 등 협동 로봇 안전성 기준을 완화하고,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생산 시설의 업종코드를 명확하게 해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게 했다. 또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활용 분야를 구체화해 롯데케미칼이 2030년까지 생분해 플라스틱 시설투자 등 1조원 투자 계획을 집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모빌리티, 신산업 분야 규제도 풀기로 했다. 자율주행로봇의 인도 주행을 허용하고 드론 안전성 검사를 간소화해 배달 로봇과 드론이 산업 현장에 널리 쓰일 수 있게 했다.

커피 찌꺼기나 폐 치아 등을 상업적으로 재활용하는 길이 열린다. 본인의 치아를 활용한 잇몸뼈 이식재, 인체 유래 콜라겐 제품 등 의약품·의약외품 개발 기반을 마련하는 식이다. 커피 찌꺼기는 발전 연료, 벽돌 제조 등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 유형을 확대한다.

법인카드의 모바일 단독 발급과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허용하는 내용도 규제 혁신 과제에 담겼다. 정부가 만든 앱에서만 발급·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민간 앱에서도 이용·저장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추 부총리는 “규제혁신은 한두 번의 이벤트로 끝낼 문제가 아니라 5년 내내 추진해야 하는, 그리고 국가의 미래가 달린 시대적 과제”라며 “혁신의 강도도 점차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