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까지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 1조2000억원, 고용 1만3000명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해양수산부는 2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해양 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 소재를 개발해 식량, 에너지, 산업 소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글로벌 해양바이오 시장은 약 7조원 규모지만, 2027년에는 1.6배인 11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한국은 임상 등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고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상대적으로 모자라 기술 수준도 미국의 약 75% 수준에 불과하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또 관련 산업에 진출한 기업들이 대부분 영세하고, 관련 인프라와 전문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해수부는 해양바이오 핵심기술 개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 3대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일단 해양생명자원 4000여종에 대해 항암·항균 등 유용 소재를 확보하고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해 기업에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 유전체 분석을 확대해 2027년까지 산업적 가치가 높은 해양생물 500여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해양바이오 산업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거점별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기업 지원과 산업 육성 등을 위해 ‘해양생명자원법’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해양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