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4조1000억원 규모의 이상 해외송금 사례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불법성이 명확해 보인다”면서 검사 대상을 광범위하게 확대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상 해외송금 사건에서 서류 조작 가능성이 있느냐’는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의 질의에 “여러 불법 요소가 강하게 보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십여개 지점에서 4조1000억원 규모의 비정상적 외환거래가 발생했다. 해당 자금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시작돼 특수관계인(사촌 등)으로 구성된 개인·법인들을 거쳐, 무역법인 계좌로 모인 뒤 다시 수입대금 명목으로 해외법인에 송금된 것으로 파악돼 ‘가상화폐 환치기’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원장은 이와 관련해 “불법성이 명확해 보이고 그 과정에서 대량 외환 유동성의 해외 유출이 확인됐다”며 “우리·신한은행에 대한 검사가 진행 중이고 전 은행에 (자체) 조사를 요청했다. 검사를 광범위하게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감독시스템에서도 왜 누락됐는지 개선방안을 마련해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이 ‘(우리·신한은행 외에) 추가로 이상 해외송금 정황을 보고한 은행이 있느냐’고 묻자 “여러 시중은행에서 유사한 형태의 거래가 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은행 자율점검 보고가 이번 주까지인데 최종 보고 전이라도 문제점이 발견되면 신속한 검사 등 조치를 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국가정보원과 업무협조를 진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명확한 답변은 피한 채 “유관기관과 협조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유 의원이 “(국정원과) 협조가 됐다는 것이네요. 대북 용의점은 봤나”라고 물었으나 이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았다.
이어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이 거듭 ‘해외 송금액이 북한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에 대한 의혹에 국정원이 조사하느냐’라고 묻자 “해외 유출 이후 단계 부분에 대해선 검사 조사 권한이 없어서 그 이후를 직접 쳐다보고 있진 못하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