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양주시는 ‘양주 회암사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Tentative List)으로 등재됐다고 27일 밝혔다.
세계유산 잠정목록은 세계유산적 가치가 있는 유산들을 대상으로 충분한 연구와 자료 축적 등을 통해 앞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도록 하려는 예비목록이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반드시 잠정목록에 등재돼야 하며 잠정목록에 등재된 후 최소 1년이 지나야만 세계유산 등재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이번에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양주 회암사지 유적’은 발굴조사를 통해 70여동의 건물지가 확인된 중심사역과, 부도·석등·비석 등 회암사를 중흥으로 이끈 고승들의 기념물로 구성돼 있다.
이는 14세기 동아시아에서 만개했던 불교 선종 문화의 번영과 확산을 증명하는 탁월한 물적 증거이며, 불교 선종의 수행 전통, 사원의 공간구성 체계를 구체적으로 증명하는 사례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유산이다.
또한 발굴조사와 문헌기록 등을 통해 14세기 말 조성돼 16세기 말까지 운영된 터가 온전히 남아있고 현재까지 잘 보존·관리돼 있는 고고유산이라는 점 등이 인정돼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됐다. 이는 우리나라 13번째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다.
강수현 양주시장은 “우리 시 대표 문화유산인 ‘회암사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며 양주시가 경기북부 역사·문화 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문화재청, 경기도와 함께 적극적으로 협력해 ‘양주 회암사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