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둘레길 탐방이 자연 재해로부터 한층 안전해질 전망이다.
제주도는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 호우 등 위험 요소 증가에 대비해 한라산 둘레길에 재난 예·경보시스템 설치를 마쳤다고 27일 밝혔다.
설치된 구역은 둘레길 구간 중 우천 시 범람 위험이 있는 하천과 길 잃음 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 11곳이다.
시스템은 탐방객 접근 시 안전사고 예방 사항을 고지해 탐방객들이 미리 발생 가능한 위험 요인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여름철 예측할 수 없는 집중호우 시 하천 범람 위험을 알리는 안전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이달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내달부터 정상 운영할 계획이다.
해발 600~800m에 자리한 한라산 둘레길은 일제 병참로와 임도, 표고버섯 재배지 등 임산물 운반로를 활용해 2010년부터 조성되고 있다.
전체 80㎞ 구간 중 천아숲길, 돌오름길, 산림휴양길, 동백길, 수악길, 절물조릿대길, 사려니숲길 등 9개 코스 70.8㎞가 개설되어 있다.
정상부 탐방로보다 체력 소모가 적고 산림의 역사, 문화, 생태가 어우러진 명품 숲길로 알려지면서 지난해 8만1000명이 방문했다.
코스 중 사려니숲은 산림청이 선정하는 이달의 국유림 명품 숲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허문정 도 환경보전국장은 “한라산 둘레길 재난 예·경보시스템은 이용객의 안전은 물론 산불 예방 및 산림 훼손 계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둘레길 등 숲길 이용 시 안전사고 예방에 도민 여러분의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