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반발 주도 경찰대 출신과 일반 경찰 ‘갈라치기’…형사처벌 등 촉구

입력 2022-07-26 16:05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6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26일 행정안전부 내 경찰국 신설과 관련해 경찰의 집단 반발 움직임이 더욱 거세질 기미를 보이자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경찰의 집단행동에 대해선 형사 처벌 등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특히 경찰대 출신들이 경찰국 신설 반대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경찰대·비경찰대 갈라치기’도 시도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경찰은 군대와 마찬가지로 총을 쥔 공권력”이라며 “어떤 항명과 집단행동도 용납이 안 된다”고 밝혔다.

권 대행은 “지난 23일 전국 경찰서장 회의에 이어 오는 30일 경감과 경위 등 중·초급 간부들이 회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며 “만약 군대가 제도 개혁에 반발해 위수지역을 벗어나 집단행동을 하면 이를 용납할 국민이 어디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형사 처벌 등 모든 수단을 강구해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경찰 지휘부에 경찰대 출신이 대거 포진한 점도 집중 부각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인 이채익 의원은 MBC 라디오에 나와 경찰대 출신이 전체 경찰의 3% 정도인데 고위직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점을 언급하며 “전국 경찰 14만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도 이번 기회에 지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고위직 경찰서장급들이 시대적인 상황 인식을 좀 부족하게 하고 있지 않나”라며 “경찰관들의 순수한 뜻이 많이 왜곡돼 전파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금희 의원 등 초선의원 61명도 성명서를 내고 집단행동에 나선 이들을 겨냥해 “지금이라도 정치경찰 행태를 멈추고, 민생경찰 옆으로 돌아가라”고 촉구했다.

다만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부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이 국민의힘 내에서도 일고 있다.

한 중진의원은 “경찰이 집단행동에 나서기 전 설득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거쳤어야 한다”며 “일이 터진 후에야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니 사태 해결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