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에 전국 현장팀장 회의를 제안했던 서울 광진경찰서 소속 김성종 경감이 ‘전국 14만 전체 경찰회의’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경찰대 출신들을 지목해 “특정 그룹이 이번 집단 행동을 주도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전체 경찰회의가 성사돼 경찰대 비중이 낮은 경감·경위 이하 계급이 대거 참석하면 정부나 경찰 지휘부로서도 경찰국 반대 기류를 ‘일부 의견’으로 취급하기에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김 경감은 26일 오전 경찰 내부망에 글을 올려 “전국 과장 회의 제의, 전국 지구대장 회의 제의 등 현장 동료들의 뜨거운 요청으로 ‘전국 14만 전체 경찰회의’로 변경하게 됐다”며 “특히 반대여론을 ‘특정 집단’이 주도했다는 음모론을 듣고 전체 경찰 의견을 청취하고자 회의참석 대상을 확대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날 이 장관이 경찰국 반대 여론을 ‘특정세력’이 주도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경찰대 출신 비중이 클 수밖에 없는 경감‧경위 계급 회의로 개최하지 않고 입직 경로가 다양한 전체 계급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이 장관이 ‘쿠데타’를 거론한 것도 겨냥했다. 김 경감은 “이번 회의는 ‘총’ ‘무기’와 관계없는 광진서 팀장인 저 혼자서 기획, 추진하는 토론회이므로 쿠데타와는 전혀 관련 없다”고 말했다.
전국 경찰서장 회의에 대한 해산명령도 ‘불법’으로 규정했다. 김 경감은 “총경들에게 한 불법적 해산명령을 14만 전체 경찰에게 하실건지, 주최자인 저와 회의참석자 수천명을 대상으로 지위해제 및 감찰조사를 하실건지 두 눈 뜨고 똑똑히 지켜보겠다”고 했다.
회의는 오는 30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열린다. 현장 진행과 함께 유튜브로도 생중계 된다. 회의는 ‘경찰국 신설은 정당한가’ ‘회의참석 총경에 대한 징계탄압, 감찰탄압은 정당한가’등의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내부망에는 회의 개최를 지지하는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김 경감의 이같은 회의 제안은 경찰청 지휘부에 대한 ‘항명’이라 할 수 있다.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는 전날 “국민들께 우려 끼치는 행동이 있어선 안 된다”며 “더 이상 집단으로 의사표시하는 행위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또 경찰청은 전국 경찰청에 공문을 보내 집단행동과 비판 인터뷰를 금지하는 내용의 복무규정을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경찰 내부망에는 윤 후보자의 발언과 경찰청 복무규정을 비판하는 댓글이 이어졌다. 내부망에는 “직을 걸고 동료들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라” “경찰 역사에 부끄럽지 않은 결정하길 바란다” “이제 와서 무슨 의견 수렴이냐” “더 늦기 전에 자진 사퇴하라” 등의 반응이 올라왔다.
복무규정에도 불구하고 경찰국 신설을 비판하는 경찰들의 언론 인터뷰도 이어졌다. 전국 지구대장, 파출소장 모임을 제안한 마산 동부경찰서 양덕지구대장 류근창 경감은 언론 인터뷰를 강행하며 경찰국 신설 반대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다음 달 2일로 예정된 경찰국 출범 이후에도 경찰 조직 내부 수습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쿠데타’ ‘하나회’ 등의 발언으로 경찰 조직을 자극한 이 장관의 강경 대응에 보조를 함께 한 윤 후보자에 대한 일선의 신뢰가 크게 떨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