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타우로스 변이 ‘지역내 감염’ 첫 확인…접촉 9일만

입력 2022-07-25 21:04
코로나19 재확산으로 25일 오후 다시 문을 연 서울 중구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검사를 준비하며 페이스실드를 착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BA.2.75(일명 켄타우로스) 변이 국내 확진자가 1명 추가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확진자는 국내 BA.2.75 확진자와 접촉을 통해 감염된 첫 지역 내 감염 사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국내 BA.2.75 변이 감염 환자 1명이 추가로 확인됐다”며 “현재 역학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번 확진자는 충북에 거주하는 20대 외국인이며, 3차 접종까지 완료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3일 코로나19 증상을 보여 검사, 확진됐으며 자택 치료를 거쳐 지난 20일 격리가 해제됐고 BA.2.75 확진이 추후 확인됐다.

특히 이번 확진자는 이번 국내 두 번째 BA.2.75 확진자의 지인으로, 두 번째 확진자가 입국했을 때 공항으로 마중을 나간 후 귀가 때까지 동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두 번째 확진자 역시 청주에 사는 30대 외국인으로 3차 접종을 완료한 상태였다. 지난 5일 인도에서 입국해 이틀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2주 후에야 BA.2.75 감염자로 분류되면서 지역사회 전파 우려를 낳은 바 있다.

방대본은 이번 확진자는 두 번째 확진자와 최종 접촉일 9일 만에 확진됐다고 전했다. 방역당국이 추산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 최대 잠복기인 8일보다 하루 더 긴 것으로, 의무 격리기간 기준인 7일을 넘어선다.

방대본은 BA.2.75의 잠복기가 다른 변이바이러스보다 더 길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해서는 “확진자 1명으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추가 확진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확진자는 방역당국이 두 번째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하고 역학조사를 진행했던 18명 중 1명이며, 방대본은 추가 확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한 BA.2.75 확진자들은 4번째 확진자를 제외하고는 3명 모두 경증의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4번째 확진자의 증상 중증도는 방역당국이 조사 중이다.

BA.2.75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렸던 BA.2보다 스파이크 유전자 변이가 8개가 더 많아, 전파력이나 면역회피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