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방만 경영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일반 국민과 전문가 모두에서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종사자 중에서는 심각하다는 응답이 26.2%에 불과해 온도 차를 보였다.
조세재정연구원은 지난달 17~24일 한국리서치를 통해 ‘공공기관 정책 인식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은 응답이 나왔다고 25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일반 국민 1022명, 공공기관 종사자 321명, 전문가 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를 보면 공공기관 방만 경영에 대해 일반 국민 63.8%, 전문가 64.9%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공공기관 종사자는 ‘방만 경영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26.2%로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 35.5%보다 낮았다.
일반 국민의 59.9%, 전문가 62.9%는 공공기관 호봉제가 문제라고 답했다. 반면 공공기관 종사자는 73.9%가 호봉제는 문제가 아니라고 답했다.
공공기관 조직·인력 규모가 크다는 응답은 일반 국민 55.5%, 전문가 71%에 달했다.
공공기관 평균 보수가 높다는 응답은 일반 국민 61.0%, 전문가 64.9%였고, 공공기관 복리후생 혜택이 민간에 비해 많다는 응답은 일반 국민 64.3%, 전문가 57.7%였다.
다만 공공기관 종사자 중 공공기관 조직·인력 규모가 크고(39.6%) 평균보수가 높으며(14.0%) 복리후생 혜택이 민간보다 많다(14.6%)고 응답한 비율은 일반 국민·전문가보다 적었다.
공공기관 고용 안정성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 63.4%, 전문가 93.8%, 공공기관 종사자 75.4%가 ‘높다’고 응답했다.
운영 및 관리는 일반 국민 46.7%와 전문가 54.6%가 ‘효율적이지 않다’고 응답했지만 공공기관 종사자는 27.4%만 그렇다고 답했다.
공공기관 정책 중 일반 국민(73.8%)과 전문가(89.7%)로부터 ‘필요하다’는 응답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은 ‘부채 규모 축소 등 재무관리 강화’였다.
‘강도 높은 공공기관 개혁’은 일반 국민 71.8%, 전문가 77.3%가 각각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공공기관 종사자 중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온 정책은 공공기관 운영 자율성 확대(66.0%)였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