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실, ‘탈북어민 강제북송’ “놀라울 정도로 자료가 없다”

입력 2022-07-25 15:58 수정 2022-07-25 16:00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모습. 연합뉴스

국가안보실 관계자는 25일 ‘탈북어민 강제북송’ 사건과 관련해 “놀라울 정도로 자료가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희가 신정부 취임과 더불어서 인수인계를 받는 과정에서도 전혀 포함되지 않았던 사안”이라며 “그 문제가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 이후에 관련 자료가 저희 안보실에 혹시 있는지 확인하는 그런 절차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울 정도로 자료가 없다”고 말했다.

윤석열정부 안보실이 ‘탈북어민 강제북송’과 관련해 문재인정부 청와대 안보실이 남겨놓은 자료들이 있는지 살폈지만, 남아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그렇기 때문에 저의 입장에서 그 건에 대해서 구체적인 말씀을 드릴 수 있는 그런 입장이 아니다”며 “검찰에서 조사 중이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그 결과를 기다려 보시는 것이 어떨까 그런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안보실은 북한의 7차 핵실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를 갖췄다는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할 모든 준비는 끝내놓은 것으로 저희는 알고 있다”면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에 대비한 여러 가지 조치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북한 내부 동향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의 사정은 좋을 수가 없을 것”이라며 “북한은 기존에 대북 제재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처해 있고 그런 상황에서 코로나가 발발한 것이 어떻게 보면 추가적인 압박과 고통을 가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아사자가 발생하는 것도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27∼28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방한 및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한·인도네시아 관계를 한·아세안 협력 강화를 위한 견인차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조코위 대통령의 방한은 한·인도네시아 관계 강화뿐만 아니라, 윤석열정부 대아세안 외교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