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도심공동화·신도시과밀 1석 3조 해법” 학교 복합화 정부·국회 토론회

입력 2022-07-25 14:56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하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역 소멸과 도심 공동화 및 신도시 지역의 교육환경 개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학교 시설 복합화’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열린다. 학교 시설 복합화는 지자체와 교육 당국이 공동으로 도서관이나 수영장, 체육관 등의 시설을 짓고 지역 주민과 학생이 이를 공유하는 걸 의미한다.

통상 일과 시간에는 학생이, 주말이나 저녁 시간에는 지역 주민이 활용하게 된다. 단순히 시설 공유를 넘어 ‘온 마을이 학생을 키운다’는 개념이 시도되고 있다.

교육부는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 한국교육개발원 등과 공동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 토론회’를 26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토론회에는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류방란 교육개발원장 등 8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그간 추진됐던 학교 시설 복합화 사업의 쟁점을 공론화하고 전문가와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새 정부의 복합화 추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수가 ‘학교시설 복합화와 미래학교·지역교육 생태계 구축과 실천 전략을 중심으로’이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한다.

이윤서 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이 ‘학교복합 시설의 학교급별 가능성과 쟁점’, 남지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 학교시설 복합화의 동향과 전략’을 주제 발표한다. 이후 토론자들이 인구절벽, 지방소멸 대응 및 신도시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복합화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