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지? 빚투 탕감 때문인가?… 주식 신용융자 다시 급증

입력 2022-07-24 16:33

3개월간 내리막길을 걷던 주식 신용융자가 이달 들어 다시 급증해 18조원선을 탈환했다. 증시 반등 추세와 정부의 ‘빚투 탕감 정책’에 안도한 투자자들이 빚투 규모를 늘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일간 신용거래융자 규모는 18조1500억원으로 집계됐다. 말일 기준 4월(22조2600억원)부터 5월(21조5600억원) 6월(17조8700억원)까지 하향곡선을 그려왔던 빚투 규모가 3개월 만에 상승 반전한 것이다.

지난달 28일 연중 최저점(17조7200억원)을 기록한 신용융자가 다시 증가하는 배경엔 코스피의 반등이 있다. 같은 기간 2300선 붕괴 직전까지 내렸던 코스피는 지난 21일 2400선을 회복하는 등 오름세다.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고 인식한 투자자들이 신용융자 규모를 늘리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빚투 탕감 정책이 신용융자 증가를 이끌었다는 시각도 있다. 공교롭게도 신용융자 규모는 서울회생법원이 빚투 손실금을 변제금에 반영하지 않겠다고 밝힌 지난달 28일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후 지난 14일 정부가 빚투족 이자 최대 50% 감면, 저금리 혜택 제공 등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를 발표하자 신용융자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

신용융자 규모가 다시 급증하자 개인 투자자들은 좌불안석이다. 현재 국내 증시가 글로벌 시장보다 더 위축된 원인이 ‘대규모 빚투’ 탓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 허재환 연구원은 최근 “국내 주가 하락은 증거금 부족으로 반대매매가 쏟아진 영향이 크다”며 “최소 5조원 이상 더 빚투가 청산돼야 정상 흐름으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애초 정부가 잘못된 시그널을 준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악의 경우 파산 위기에 몰려도 빚을 일정 부분이나마 탕감받을 수 있다는 식의 ‘모럴 해저드’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원금이든 이자든 빚을 정부에서 줄여준다는 인식이 생기면 ‘쉬운 빚투’가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