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3일 열린 전국 경찰서장 회의에 대한 경찰청 대응에 대해 “경찰서장 협의회를 만들고 경찰의 중립성을 논의하는 움직임에 전두환 정권 식의 경고와 직위해제로 대응한 것에 대단히 분노한다”고 비판했다.
우 위원장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가진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며 열린 전국 경찰서장 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울산 중부경찰서장(총경)이 대기발령 조치된 것을 언급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우 위원장은 “법무부에 검찰국을 두는데 왜 경찰국은 두면 안 되느냐고 하는 분들께 묻겠다. 그러면 평검사회의는 되고 왜 경찰서장 회의는 안 되냐”면서 “이게 징계 사안이냐. 총경급 서장들의 입을 묶는다고 이 문제가 해결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 청문회에서 엄정히 따지고 상임위에서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겠다”며 “경찰의 중립성을 위해 용기 낸 경찰서장에게 제재가 가해지면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우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윤석열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상황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그는 선별진료소 부족, 확진자 유급병가 등 혜택 축소, 병상 및 의료진 확보 미흡 등 문제를 지적하며 “윤석열정부의 대응이 굉장히 미흡하다. 문재인정부에서 진행한 조치가 상당 부분 철회돼 걱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질병청장이 알아서 살아남으라는 식의 ‘각자도생 방역’을 추진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2명이 낙마한 데서 보이듯, 코로나 대책에 깊은 관심이 있었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민주유공자법을 비판한 것과 관련해서는 “권 원내대표 비판은 사실 왜곡”이라며 “운동권 출신이 모두 혜택의 대상인 양 국민을 속이지 말라. 법을 통과시키기 어렵다고 하면 문제가 되는 혜택은 다 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꾸 떡고물을 바라고 요구하는 것처럼 몰고가면 민주열사에 대한 명예훼손”이라면서 “(민주유공자법 대상은) 가장 넓게 잡아야 800명이고, 정부 추산으로도 최대로 잡아서 1년에 10억원이 든다. 이것을 침소봉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우 위원장은 윤 대통령과의 영수회담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제안이 오면 거절하지 않겠다. 그러나 아직은 제안 온 것이 없다”고 밝혔다.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이 과거 이재명 상임고문으로부터 계양을 공천을 요구받았다고 폭로한 것과 관련해서는 “이전 지도부의 공천 과정에 대한 조사권은 없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박 전 위원장께 충고하자면, 비대위원장 시절 생긴 일을 대외적으로 공표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