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조선총독 관저’ 복원 계획에…누리꾼 ‘싸늘’

입력 2022-07-22 16:02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정부의 조선총독관저 모형 복원 계획에 야권과 누리꾼들이 “생각이 있는 것이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21일 청와대를 문화·예술·자연·역사가 담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청와대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1993년 철거된 조선총독관저의 모형을 복원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문체부는 “본관과 관저, 본관 터는 역대 대통령의 삶은 물론 중요한 결정을 내렸던 권력의 순간을 실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공간으로도 꾸밀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야권은 “무슨 생각으로 복원을 추진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청와대 구 본관 모형 복원을 추진한다고 한다”며 “누가 무슨 생각으로 복원을 추진하는지 대정부 질문을 통해 확인해봐야겠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청와대 구 본관은 조선총독관저로 건립된 건물”이라며 “1993년 민족정기를 바로 잡고 국민들의 자긍심을 되살리기 위해 철거됐다”고 전했다.

1939년 준공된 청와대 구 본관은 조선총독관저로 사용됐으며 모두 3명의 총독이 기거했다. 해방 이후 미군 사령관 관저로 이용되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경무대로 활용됐다. 이후 역대 대통령들이 사용해오다 1993년 일제 잔재 청산 차원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철거됐다.

누리꾼들도 정부의 이런 계획에 불만을 표했다. 이들은 “저걸 왜 복원한다는거냐? 한국사람이 할짓이 아니다” “일제 잔재를 혈세 들여서 복구할 필요가 왜 있냐” “일본 식민지로 회귀하는 거냐” “치욕적인 일제강점기를 다시 되살리자는 건가” 등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황서량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