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수도 경기도’…판교·용인에 반도체클러스터 구축

입력 2022-07-21 12:10

경기도가 성남 판교와 용인 플랫폼시티에 반도체 기업 유치, 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한 반도체클러스터를 구축키로 했다.

현재 조성 중인 제3판교테크노밸리, 제2판교 글로벌비즈센터, 경기용인플랫폼시티의 일부인 약 14만8000㎡(4만5000평)를 반도체 육성 전용공간으로 확보해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경기도와 성남시, 용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주택도시공사(GH), 용인도시공사 등 6개 기관은 21일 이러한 내용의 ‘제3판교테크노밸리, 글로벌비즈센터, 경기용인플랫폼시티 내 반도체 전용공간 조성계획’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조성될 제3판교테크노밸리에는 전체 면적 58만3000㎡ 중 자족시설용지 일부인 약 3만3000㎡(1만평)를 반도체 전용공간으로 별도 배정했다.

이곳에는 시스템반도체 산업육성의 핵심인 팹리스(설계)뿐만 아니라 파운드리(위탁생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R&D(기술·개발) 시설투자를 우선 유치해 반도체 창업·육성 공간을 조성한다.

내년 2월 문을 열 제2판교 글로벌비즈센터는 연면적 9만5000㎡ 중 약 1만6000㎡(5000평)를 반도체 우선 입주 공간으로 지정했다.

첨단산업과 상업, 주거, 문화·복지 공간이 어우러진 미래형 복합자족도시인 경기용인플랫폼시티에는 전체 면적 275만7000㎡ 중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산업시설용지 약 9만9000㎡(3만평)를 확보, R&D부터 제조공정까지 가능한 반도체 소부장 전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이번 계획은 새 정부의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과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공약인 ‘반도체·미래차·바이오산업을 3대 글로벌 첨단산업으로 육성’뿐만 아니라 ‘제2·3 판교테크노밸리 적기 준공으로 ICT(정보통신기술)산업 메카 조성’을 연계한 것이란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도는 이번 산업집적화를 통해 제3판교 테크노밸리와 글로벌비즈센터에서 6997명, 경기용인플랫폼시티에서 6072명의 고용효과를 각각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와 성남시,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시행하는 제3판교테크노밸리는 제1·2판교테크노밸리의 강점인 정보통신(IT), 생명공학(BT), 문화(CT), 나노(NT)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반도체를 연계한 클러스터다.

사업비 1조3756억원을 들여 2018년부터 2024년 완료를 목표로 조성하고 있다.

경기도와 용인시, 경기주택주택공사, 용인도시공사가 시행하고 있는 경기용인플랫폼시티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분당선 복합환승센터, 첨단산업, 상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도입한 경제 신도시다.

사업비 6조2851억원을 들여 2019년부터 2029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홍지선 도 도시주택실장은 “판교·용인 일대에 반도체클러스터를 조성해 ‘잘 사는 경제수도 경기도’가 미래 성장동력을 더욱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