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절대 권력에 누수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 위원장에게 ‘용납할 수 없는 어떤 정치적 상황’이 발생했고, 이를 수습하기 위한 대대적인 사정의 칼바람이 불었다는 주장이다.
북한이 7차 핵실험 준비를 진즉에 마치고도 아직까지 단행하지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눈앞의 정치적 이슈부터 정리하고 조직을 재정비하기 위해 핵실험이 후순위로 밀렸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익명의 대북 관계자는 21일 “최근 북한에서 김정은 체제를 둘러싸고 ‘상당히 이상한 기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보 당국에서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여러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면서도 ‘특정 권력 부서에서의 이반적 행위’ 또는 ‘당 과업 방기’ 가능성을 제시했다. 직간접적으로 김 위원장의 뜻에 반하는 움직임이 내부에서 발생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특정 권력 부서에서 유일영도체계에 반하는 행위 내지 일탈 행위가 포착됐을 수 있다. 북한은 유일영도체계에 대해 “당 건설과 활동의 근본 원칙이자 유일한 지침”으로 규정한다.
김 위원장이 강조하고 지시한 과업을 간부들이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는 수준이 도를 한참 넘어 김 위원장이 이에 대해 강하게 조치했을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또 이같은 조직적 반발이 실제로 벌어졌다면 김 위원장이 내부 사정 작업을 진행했을 수 있다. 이 관계자는 “특정한 권력 부문을 제압하고 정리하며 찍어누르는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12일 노동당 비서국 회의를 열어 간부들의 ‘비혁명적 행위’를 강하게 지적하며 군기 잡기에 나서기도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튿날 “당에 강한 규율 순수 기풍을 세우고 일부 간부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불건전하고 비혁명적인 행위들을 표적으로 더욱 강도 높은 투쟁을 전개하는 데 대해 토의했다”고 보도했다.
당 전원회의를 끝낸 지 이틀 만에 비서국 회의를 따로 소집한 것을 두고 김 위원장이 간부들의 기강 해이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었다.
김 위원장이 북한 내 코로나19가 확산된 상황을 대대적 사정 작업의 기회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코로나를 명분으로 내세운 최대비상방역체계는 우리로 치면 비상계엄령 발동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초 이후 북한의 당·정·군 최고위급의 약 70%가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 고위 당국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정은의 기강 다잡기는 1년 내내 있었던 일”이라며 “권력 누수랄지 사정 국면에 대해서는 못 들어봤다”고 말했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