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하청 노사협상 불발…‘손해배상’ 막판 걸림돌

입력 2022-07-21 00:21 수정 2022-07-21 09:47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 18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서문을 지나가는 한 노동자가 크레인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견해차를 좁혀가던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 임금협상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불발됐다.

대우조선 하청 노사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파업 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오후 11시20분쯤 종료했다. 다만 노사 협상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홍지욱 민주노총 금속노조 부위원장은 협상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교섭을 정회하고 내일(21일) 오전 10시 재협상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가 20일 밤 늦게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에서협상 불발 상황과 추후 일정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양측은 다음 날인 21일에도 협상 테이블에 앉아 입장차를 좁혀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노조 측이 임금과 관련해 30% 인상에서 5% 인상으로 요구를 대폭 낮추면서 사측안(4.5%)과 접점을 찾는 등 양측의 견해차가 상당 부분 좁아진 상태였다. 그러나 민형사상 고소·고발 취하 문제가 막판 쟁점이 됐다.

20일 오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에서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와 하청지회가 비공개 협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특히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막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노조 측은 파업 과정에서 사측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를 취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원·하청 사측은 피해 규모가 크고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소 취하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원청의 경우 소송을 취하하면 주주에게 손해를 끼쳐 배임죄 처벌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를 내세우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대우조선을 방문해 노사를 따로 만났으나 이 문제를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하청지회 파업으로 6월 말까지 총 2894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업이 7월 말, 8월 말까지 이어지면 손실액은 각각 8165억원, 1조3590억원으로 급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