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의 재시행 가능성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며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해 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일상 회복 기조에 따라 축소된 격리지원금 등 재정지원은 재정 여력을 고려해 추후 검토하기로 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만으로는 전파가 빠른 변이 확산을 완전하게 통제하기 어렵다”며 “일상 회복을 지속하면서 지금의 유행을 조속히 극복하기 위해 기본적 방역수칙과 자발적인 거리두기 준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생활 방역수칙 준수와 자발적인 거리두기를 거듭 당부했다. 이 총괄조정관은 “자발적 거리두기에 힘써 달라”면서 “거리두기의 사회문화적 여건 조성을 위해 공공 분야부터 솔선수범하겠다. 실내 마스크 착용, 재택근무와 비대면 회의의 활성화, 불필요한 모임·행사를 자제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관련 증상이 있는 근로자가 출근하면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근로자가 쉴 수 없는 환경이 돼서 증상이 있는데도 출근을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그 집단 내에서 상당한 규모의 집단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더 많은 근로자가 쉴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는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프면 쉴 수 없는 환경이 정착하지 못하면 손실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문화가 정착되도록 요청드린다”라고 주문했다.
손 반장은 현재 축소된 격리지원금 지급 대상을 재유행 상황에서 다시 늘릴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국가 전체적 재정 여력을 봐가면서 재정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이어 “현재는 전체적 재정 여력과 형평성, 일상으로 체계 복원 등을 고려해 지원금을 취약계층 중심으로 좁혀나가고 있던 단계이고, 재정 여력을 고려한 종합적인 의견들을 재정 당국과 논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