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 공군 20전투비행단(이하 20비)에서 발생한 여성 부사관 A하사 사망 사건의 디지털 조사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맡는다.
20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A하사의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전자기기에 대한 포렌식 작업은 유족의 요청으로 군이 아닌 민간 수사기관에 의뢰됐다. 군과 경찰은 포렌식을 통해 A하사가 극단적 선택에 이른 경위, 업무 및 부대 내 사안과의 관련성 여부를 들여다볼 계획이다. 대전지검 서산지청, 충남경찰청, 국가인권위원회 군인권보호관, 시민단체 군인권센터 등 민간기관들은 A하사 사망 사건 당일인 전날 현장 감식에 공군 수사단과 함께 참여했다.
군 사건·사고 관련 과학수사를 진행하는 기관은 국방부 산하 국방과학수사연구소다. 하지만 과거의 군 관련 사건 일부를 국과수가 맡아 국방과학수사연구소와 다른 결론을 도출한 사례가 있었다. 2014년 선임병들의 집단구타로 숨진 ‘윤 일병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국방과학수사연구소는 윤 일병의 사인을 ‘기도 폐쇄에 따른 질식사’로 판단했지만, 재판 과정에서 국과수가 감정한 사인은 ‘다발성 좌상에 의한 쇼크’로 나타났다.
A하사는 지난 19일 오전 8시10분쯤 20비 내 독신자 숙소에서 동료 부대원에 의해 숨진 채 발견됐다. 이제 임관을 1년 넘긴 20대 초반의 부사관이었다. 10대 때 군인 양성 학교에 재학했다. 20비는 상관의 성추행 등으로 지난해 극단적 선택을 한 고(故) 이예람 중사의 생전 소속 부대이기도 하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